풍속화風俗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풍속화風俗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풍속화風俗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Blog Article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강산리에서도 범굿을 했었고 이 굿으로 호랑이로부터의 호환을 예방하기 위해 굿을 했었고 3년 주기로 열렸으며 영일군 일대 몇 마을에서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호랑이에게 잡아먹힌 시체를 찾기 위해, 호랑이에게 물려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해 범굿을 했다고 하는데 호환을 입은 마을에서는 반드시 범굿을 해야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때 경복궁이 화재에 의해 소실된 이후 다시 지어졌고, 1868년 경복궁이 다시 지어질 때까지 경복궁의 역할을 대체하여 임금이 거처하며 나라를 다스리는 정궁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부분이 손실 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그린 《동궐도》와 1900년에 그려진 《동궐도형》을 참조하여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1820년대에 100여 명의 화가들이 집단적으로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모를 그려낸 《동궐도》는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가로 567센티미터, 세로 273센티미터의 초대형 그림을 16폭으로 나누어 그린 이 작품은 기록화로서의 정확성과 정밀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배경산수의 묘사가 극히 예술적이어서 현재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이 그림은 18세기 궁궐도에서 보이던 서양화의 기법이 한층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마치 비행기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보는 듯한 부감법과 평행사선(平行斜線) 구도의 기법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칠정산 내편’은 전통적인 한국과 중국에서 쓴 방식의 역법이고 ‘칠정산 외편’은 아라비아 역법을 바탕으로 조선의 천문에 맞게 만들었습니다. 이 두 역법은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해서 계산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달력 체계가 달랐습니다. 이순지는 행성들의 운동을 계산하는 방식을 치밀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일식과 월식 등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탑은 원래 창경궁에 없었는데 일제 강점기 창경궁에 이왕가박물관을 만들면서 옮겨왔다고 해요.


그 편지를 하나하나 정리해 가면서, 필자는 그 글씨의 주인은 조병덕이며, 그 편지의 수신자는 조병덕의 아들 조장희임을 알게 되었다. 아들 조장희와 소통하던 조병덕의 편지는 150여 년의 세월을 기다려 다시 필자와 소통하게 된 것이다. 평생을 고문서 더미에서 버텨냈기에 만날 수 있는 행운이었다." 이에 대하여 한원진은 성(性)을 단순히 이(理)로만 보지 아니하고 일정한 기(氣)에 배합된 생물 각 종류의 서로 다른 특질로 보았다.


외할아버지 이사온과, 기묘사화로 관직을 단념하고 향리에 은거한 아버지 신명화로부터 성리학을 교육받았으며, 아버지가 아들없이 죽자 경기도 파주의 시댁과 강원도 강릉의 친정집을 오가며 친정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어린 자녀들을 두고 일찍 병사하였지만 아들 이이는 대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딸 이매창과 아들 이우 등은 문인 화가로 명성을 날렸다. 그의 이야기는 효종의 부마인 동평위 정재륜의 동평위공사견문록과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의 옥갑야화 편, 이익의 성호사설 17권 임진재조 편 등에 기록되어 후대에 전하게 되었다. 첫째 아들 홍건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당상관을 지냈고, 넷째 아들 홍운(洪運)은 광해군 때인 1612년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홍건의 아들인 손자 홍효손은 숙천부사를 지냈다. 석성은 예부시랑으로 있다가 뒤에 병부시랑을 거쳐 예부상서로 승진했다.


『심생전』의 작자 역시 자신이 들은 심생의 이야기를 수정하여 보다 리얼리티를 살린 『심생전』으로 재편했음을 밝혔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심생전』은 『정사(情史)』 류의 책을 보완하는 자격을 부여받았다. 『정사』 류의 담론이 남녀의 애정담을 역사의 일종(補史)으로 받아들였으리란 사실을 고려해 볼 때, 『심생전』은 ‘정사의 보유’를 삼겠다는 마지막 한 구절을 통해 자신의 목적성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심생전』은 남녀의 만남이나 애정 관계에서 발생하는 기쁨이나 즐거움보다도 어려움과 고통을 다루는 데 더 주력하는 것이다.


선화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 단어는 ‘운빈(雲鬢)’과 ‘취검(翠臉)’, ‘명모(明眸)’와 같이 여인의 외모를 묘사하는 것들이다. 『상사동기』의 영영(英英) 역시 ‘윤이 나는 검은 머릿결을 가볍게 흔들자, 푸른 소매는 봄바람에 나부끼고 붉은 치마는 맑은 냇가에 어리어 반짝’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녀의 외모뿐만 아니라 태도와 몸짓까지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요소로 언급된다. “사뿐사뿐 걷는 고운 발걸음에 길가의 먼지마저 일지 않았다. 허리와 팔다리는 가냘프고 어여뻤으며, 태도가 매우 아름다웠다.”45 『주생전』에서도 살짝 흘겨보는 맑은 눈동자와, 새벽이슬을 머금은 듯한 아름다운 미소가 선화의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이처럼 여성의 ‘아름다움’은 외모나 태도처럼 외면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다.


두 번째 경우는 옛날에 굶어죽은 어린아이의 시신 곁에 고양이가 있으면 있으면 사람의 혼이 고양이에게 물들어 악령이 된다고 믿었는데 이런 경우에도 창귀란 단어를 썼다고 합니다. 그 이후로도 길거리에 똥오줌을 싸는 일은 쉽게 고쳐지지 않았지만 화장실을 사용하는 생활이 점점 보편화되기 시작하면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한때는 임금의 편전으로 쓰이기도 하였으며 조선 말기때는 내의원으로도 사용되기도 했었다. 동편에는 희우루라는 2층 누각이 있으며 1층은 현재 개방되어 있으나, 과거에는 닫힌 공간이었다.


심지어 소설 내용에 너무 몰입한 나머지 소설을 읽어주던 사람을 살해하는 사건까지 발생했습니다. 양반 이옥의 눈에 장시는 이익을 얻기 위한 간교한 술책이 난무하는 곳이었지만 일반 백성들에게는 치열한 삶의 장이었다. 촌계나 두레 등 촌락사회를 기반으로 한 조직이 강화됨과 동시에 촌락사회로부터 이탈되어 간 下賤民들도 민중결사를 시도했다. 流亡한 농민들 가운데 도성이나 읍성 주위에 거주하던 이들은 생계유지나 자위의 수단으로 향도계를 조직하여 잡역을 담당했다. 한편, 향촌 사회에서는 지주제와 신분제의 동요에 따라 사족 중심의 향촌 지배가 어렵게 되어 붕당 정치의 기반도 무너지게 되었다. 태조는 8번째이자 막내 왕자인 의안대군 방석을 왕세자로 삼았으나 개국 당시 공이 컸던 5번째 왕자 정안대군 이방원은 이에 불만을 품고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현재의 정치 방향을 설정하는 데는 전 왕조(前王朝)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그러한 뜻에서 태조 때부터 고려사 편찬이 활발히 진행되어 기전체로 된 《고려사》(139권)를 정인지(鄭麟趾) 등이 문종 원년(1451년)에 먼저 간행하고, 편년체로 된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1]를 다음해에 출간하였다. 화간이란 가장 포괄적인 의미의 간통으로서, 두 남녀가 서로 합의하에 성관계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조간은 상대방을 유혹하여 집으로 유인해 공공연한 성관계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조간은 상대방을 유혹한 것이므로 화간보다 죄질이 무겁지만, 화간과 조간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았다.

아찔한달리기 아달 아달 아달

Report this page